티스토리 뷰

 

"회사 퇴직 후에도 연말정산을 해야 하나요? 안 하면 불이익은 없을까요?" 이런 고민, 퇴직 후 처음 연말을 맞이한 분이라면 한 번쯤 해보셨을 겁니다.

 

일을 그만뒀으니 당연히 끝난 줄 알았는데, 연말정산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마음이 찜찜하진 않으셨나요?

 

오늘은 퇴직 후 연말정산을 해야 하는 이유와, 하지 않았을 때 어떤 일이 생기는지 속 시원히 알려드리겠습니다.

 

 

퇴직후 연말정산 왜 중요할까?

 

퇴직했다고 해서 연말정산이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. 오히려 더 꼼꼼히 챙겨야 할 수도 있죠. 퇴직 후 연말정산을 놓치면 다음과 같은 일들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.

 

  1. 환급받을 수 있는 세금을 놓침
  2. 추가 세금 납부 가능성
  3. 가산세 부과 위험

 

함께 보면 좋은 글👇

 

중도퇴사자 전직장 연말정산 시기 및 방법

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기다리는 '13월의 월급', 연말정산. 하지만 중도에 퇴사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? "아, 맞다! 연말정산..." 하고 깜짝 놀라셨나요? 걱정 마세요. 오늘은 중도퇴사자를 위한

inforstory777.tistory.com

 

퇴사 후 연말정산하는 방법 총정리

퇴사 후 연말정산? 회사 다닐 땐 인사팀이 다 알아서 해줬는데, 이제 어쩌죠? 막상 퇴사하고 나니 연말정산이 혼자 힘으로 해결해야 할 또 다른 숙제처럼 느껴지지 않나요? 하지만 걱정 마세요.

inforstory777.tistory.com

 

퇴직 시기별 연말정산 방법

퇴직 시기에 따라 연말정산 하는 방법이 달라집니다. 아래 표를 참고해 주세요.

 

퇴직 시기 연말정산 방법
연도 중 퇴직 퇴직 시 중간정산 후, 다음 해 5월 종합소득세 신고
12월 말 퇴직 다음 해 5월 종합소득세 신고로 연말정산
이직한 경우 현 직장에서 전 직장 소득 합산하여 연말정산

 

퇴직후 연말정산 안하면

 

✅ 환급 기회 상실

  • 퇴직 연말정산 때 놓친 각종 소득세액공제로 인한 환급 기회를 놓칠 수 있습니다.

 

✅ 추가 세금 납부

  • 두 곳 이상에서 근로소득이 발생했다면, 합산하여 신고하지 않을 경우 추가 세금을 납부해야 할 수 있습니다.

 

✅ 가산세 부과

  •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지 않으면 무신고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. 이는 납부할 세액의 20%에 달할 수 있어 상당한 부담이 됩니다.

 

✅ 국세청 자동 적발

  • 퇴직 후 재취업한 경우, 소득을 합산하지 않으면 국세청 전산에서 자동으로 적발되어 세금을 추징당할 수 있습니다.

 

퇴직후 연말정산 이렇게 하세요

 

퇴직 후 연말정산은 본인이 직접 해야 합니다.

 

📌 주요 절차

1. 국세청 홈택스 접속 :

 

2.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이용:

소득 및 공제 자료 확인.

 

3. 정산 내역 제출:

해당 관할 세무서로 신고.

 

📌 준비해야 할 서류

서류 발급처
소득증명자료 홈텍스 또는 전직장
공제자료(보험, 의료비 등) 연관 기관(보험사, 병원 등)
퇴직소득 원천징수 영수증 퇴직했던 회사

 


퇴직 후 연말정산을 하지 않으면 세금을 환급받지 못하거나 추후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. 퇴직 후의 삶이 바쁜 가운데도 잠깐 시간을 내어 연말정산을 꼼꼼히 챙기세요. 내 돈을 지키는 첫걸음은 바로 '연말정산'입니다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