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 

“기부했는데, 내 세금은 얼마나 줄어들까?” 한 해 동안 나눔을 실천한 당신의 따뜻한 마음, 세금 혜택으로 이어집니다. 많은 분이 기부는 했지만, 정작 기부금 공제를 제대로 챙기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요.

 

오늘은 기부금 공제금액 계산방법을 쉽고 명확하게 알려드릴게요.

 

 

기부금 공제 왜 중요할까?

기부금은 단순히 마음만 전하는 것이 아닙니다. 세법상 일정 금액을 소득공제나 세액공제 형태로 환급받을 수 있기 때문이죠. 연말정산을 통해 소득세를 줄이고, 나아가 기부의 가치를 더 높일 수 있습니다.

 

함께 보면 좋은 글👇

 

퇴직후 연말정산 안하면 어떻게 될까?

"회사 퇴직 후에도 연말정산을 해야 하나요? 안 하면 불이익은 없을까요?" 이런 고민, 퇴직 후 처음 연말을 맞이한 분이라면 한 번쯤 해보셨을 겁니다. 일을 그만뒀으니 당연히 끝난 줄 알았는데

inforstory777.tistory.com

 

중도퇴사자 전직장 연말정산 시기 및 방법

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기다리는 '13월의 월급', 연말정산. 하지만 중도에 퇴사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? "아, 맞다! 연말정산..." 하고 깜짝 놀라셨나요? 걱정 마세요. 오늘은 중도퇴사자를 위한

inforstory777.tistory.com

 

퇴사 후 연말정산하는 방법 총정리

퇴사 후 연말정산? 회사 다닐 땐 인사팀이 다 알아서 해줬는데, 이제 어쩌죠? 막상 퇴사하고 나니 연말정산이 혼자 힘으로 해결해야 할 또 다른 숙제처럼 느껴지지 않나요? 하지만 걱정 마세요.

inforstory777.tistory.com

 

세액공제 기본 계산식

  • 1천만원 이하 기부금: 기부액의 15% 공제
  • 1천만원 초과 기부금: 기부액의 30% 공제

 

기부금 종류별 공제한도

✅ 법정기부금

  • 공제한도: 근로소득 전액
  • 대표기관: 사랑의열매, 대한적십자사

 

 ✅지정기부금

  • 일반 지정기부금: 근로소득의 30% 한도
  • 종교단체 지정기부금: 소득금액의 10% 한도

 

 

 

기부금 세액공제액 계산 방법 알아보기

 

두가지 사례를 통해 기부금 세액공제액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사례 1: 월 3만원 정기기부

  • 연간 기부금: 36만원 (월 3만원 × 12개월)
  • 세액공제액: 5만 4천원 (36만원 × 15%)

 

사례 2: 고액기부자의 경우

  • 기부금: 2천만원
  • 연소득: 4천만원
  • 공제가능 한도: 1,200만원 (연소득의 30%)
  • 세액공제액: 210만원
    • 1천만원 × 15% = 150만원
    • 200만원 × 30% = 60만원

 

기부금 공제를 위해 꼭 필요 서류

  1. 기부금 영수증: 기부단체에서 발행.
  2. 기부단체의 공익법인 인증번호: 국세청 홈택스에서 확인 가능.
  3. 정치자금 기부금: 정치자금법에 따른 증명서류 필요.

 

기부금 공제 주의사항

  • 기부금은 반드시 본인 명의로 납부한 금액만 공제 가능.
  • 배우자나 부양가족이 낸 기부금은 합산 가능하지만, 소득요건(총소득 100만 원 이하)을 만족해야 함.

 

연말정산 기부금 공제 꿀팁

 

✅ 기부금 공제 이월제도

  • 공제한도 초과분은 10년간 이월하여 공제 가능
  • 다음 연도부터 순차적으로 공제 적용

 

✅ 부양가족 기부금 공제

  • 기본공제 대상 부양가족의 기부금도 세액공제 가능
  • 단, 정치자금 기부금은 본인 지출분만 공제 가능

 

✅ 특별한 기부방법

  • 통신요금 기부: 월 납부 요금의 10% 자동 기부
  • 걸음 수 기부: 임직원 걸음 수에 따른 회사 기부
  • 중고물품 기부: 물품 판매 수익금 기부

이처럼 기부는 복잡하지 않습니다. 작은 실천으로 시작해 보세요. 당신의 따뜻한 마음이 누군가에게는 큰 희망이 되고, 연말정산 때는 감사한 혜택으로 돌아올 것입니다.